1. 일반적인 재무비율
다양한 재무비율 중에서 일반적으로 유동성비율, 안정성비율, 매출액이익률, 자본이익률, 기타 재무비율 등으로 구분될 수 있습니다.

2. 유동성비율
(1)유동비율(=유동자산/유동부채×100)
유동자산은 회계기간 종료일로부터 1년 이내에 현금화할 수 있는 자산을 나타내고, 유동부채는 만기가 1년 이내인 부채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유동비율은 유동자산으로 지급할 수 있는 유동부채의 크기를 측정하는 비율이므로, 단기채무에 대한 변제능력을 나타냅니다. 일반적으로 유동비율이 200%보다 크면 회사의 유동성이 양호하다고 판단합니다. 예를 들면 유동부채가 10억원이고 유동자산이 20억원인 경우 유동비율은 200%가 됩니다. 이 경우 1년 이내에 지급하여야 할 부채(유동부채)가 10억이나, 1년 이내에 현금화할 수 있는 자산(유동자산)이 20억이므로 회ㅏ가 채무를 상환하지 못할 가능성이 거의 없을 것입니다. 따라서 유동비율은 크면 클수록 회사의 유동성은 좋다고 할 것입니다.

(2) 당좌비율(=당좌자산/유동부채×100)
유동자산 중 재고자산은 판매를 통해 현금화가 가능한 자산이며 판매하는데 상당한 기간이 소요될 수 있으므로, 이를 제외한 당좌자산과 유동부채를 비교함으로써 기업의 단기채무의 지급능력을 보다 정확히 측정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당좌비율은 100%보다 크면 회사의 유동성이 양호하다고 판단합니다.

3. 안정성비율
(1)부채비율(=부채총계/자본총계×100)
부채비율은 타인자본인 부채와 자기자본인 자본의 크기를 비교하는 비율로 부채비율이 클수록 기업의 재무위험과 채권자의 위험이 큰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부채비율은 단기 유동성을 나타내므로, 채권자의 위험을 평가하는 보편적인 방법입니다. 일반적으로 부채비율이 100% 이하인 경우 기업의 재무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판단하며, 분모를 자본총계대신 자기자본으로 계산하기도 합니다.

(2)자기자본비율(=자본총계/자산총계×100)
총자산 중에서 자기자본의 비중을 측정하는 비율로 부채비율과 함께 기업의 안전성을 측정하는 비율이며, 자기자본비율은 높을수록 기업의 재무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판단합니다.

(3)이자보상비율(=영업이익/이자비용)
이자보상비율은 이자와 법인세비용을 차감하기 전의 이익인 영업이익을 이자비용으로 나누어 계산합니다. 이 비율은 채권자에게 지급해야 할 고정비 성격의 이자비용에 대한 안전도를 나타냅니다. 즉 이 비율이 높으면 높을수록 채권자의 입장에서 안전도가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Tip.
1. 유동성비율이 꼭 높다고 좋은 것은 아님에 유의하셔야 합니다. 높은 유동성비율이 적정수준보다 많은 매출채권이나 재고자산 등에 의해 산정되었다면, 자산 비효율성이 존재할 가능성도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유동비율은 기말에 보고된 재무제표상의 금액에 대한 비율이므로, 회사가 회계기간 중에서도 높은 유동성을 보유하고 있다고 단정하기는 어렵기 때문입니다.
2. 이자보상비율은 이자를 지급할 수 있는 능력을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므로 이 비율의 분자에 영업이익 대신에 현금흐름상의 영업현금흐름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저작권자 © 광양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