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관을 사랑하는 100가지 방법

생각해 보았다. 아주 큰 미술관이 우리 마을에 들어서면 무엇이 좋을까? 삶의 어떤 변화가 생길까?

미술관이나 박물관 등에서 관람객들에게 전시물을 설명하는 안내인을 가리키는 도슨트의 사전적 의미를 두산백과에서 그대로 옮겨보면 다음과 같다.

도슨트(docent)는 '가르치다'라는 뜻의 라틴어 'docere'에서 유래한 용어로, 소정의 지식을 갖춘 안내인을 말한다. 1845년 영국에서 처음 생긴 뒤, 1907년 미국에 이어 세계 각국으로 확산된 제도이다. 일정한 교육을 받고 박물관·미술관 등에서 일반 관람객들을 안내하면서 전시물 및 작가 등에 대한 설명을 제공함으로써 전시물에 대한 이해를 돕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한국에는 1995년 도입되었다.

일종의 전문 안내인으로, 미술에 대한 지식이나 안목을 바탕으로 자신들이 익힌 지식을 다른 사람들에게 알린다. 도슨트가 되기 위해서는 문화재나 미술에 대한 애정과 일정한 수준의 전문 지식이 있어야 하며, 소정의 교육과정을 마쳐야 한다.

꼭 미술전공자가 아니더라도 미술에 대하여 알면 알수록 다른 이에게 설명하면 할수록 그만큼 가까이 다가가 사랑하지 않을까. 도슨트 양성과정에 관심을 가질 수도 있다. 그것이 미술관을 사랑하는 첫 번째 방법이지 않을까.

다른 도립미술관에 가보니 1년에 한두 번 초등생과 일반을 대상으로 체험 및 강좌를 진행한다.

아이들만 강좌에 보내놓고 부모는 주변 커피숍에 앉아서 아이들 학력을 높이는 대화에 귀를 쫑긋하고 있지는 않는지. 가족 모두가 모든 과정을 함께하려고 원하면 좋겠다. 그것이 미술관의 시스템을 변화하게 만들고 활기차게 하는 방법이다.

주변 여느 미술관들에 관람객이 북적이는 모습을 본적이 없다. 오히려 관람 중 다른 사람이 들어오면 놀랄 정도로 전시실이 한가로웠던 기억들이 많다. 자칫 동네에 사진 찍기 맞춤인 모양 좋은 건물 하나 들어오는 것으로는 만족하기에는 너무나 아쉽지 않을까.

가족구성원 모두가 함께 참여할 수 있는 강좌와 세미나, 귀퉁이 책방, 놀이터, 강의실 등 시민들이 원하고 신나게 놀 수 있는 공간으로 우리 스스로 만들어 가는 미술관. 우리가 미술관을 사랑하는 두번째 방법이지 않을까.

우리 마을에서 미술은 아직 생소하다. 새마을금고 건물에 마련된 갤러리가 언뜻 떠오른다. 사람들이 호흡하기 좋은 참 좋은 공간이다. 그리고 또 하나 문화예술회관 전시실이 떠오른다. 그러나 우리에겐 이제껏 이러한 문화 예술 공간이 턱없이 부족했고 사용설명서를 잃어버렸거나 방법을 알았어도 다양하지 못해 마치 소수의 전유물로 전락한 면이 있다.

도립미술관 생긴다고 갑자기 그런 공간이 다양하게 생겨나지 않는다. 덩치 큰 미술관이 할 수 없는 것을 실험적이며 튀는 아이디어들이 접목되어 시민에게 가까이 다가올 작은 미술관과 갤러리가 더 많이 필요하다. 우리에게 밀착된 그런 공간들이 우리의 문화를 한 단계 업그레이드 시켜준다.

도립미술관이 생긴 후 20여명내의 관리인원이 우리에게 문화의 꽃다발을 갑작스레 선물하지는 않는다. 그렇다고 광양사람 몇이나 들어갔다고 좋아할 수도 있는 운영위원들이 시민에게 활기찬 놀이터를 만들어 줄 수도 없다.

문제는 시민이 능동적으로 무엇을 하느냐이다. 어떻게 활용하느냐이다.

어느 날부터 전남과 광주의 미술관과 갤러리 목록과 자료를 모아보았다. 도립미술관이 개관하기 전에 그곳들을 모두 돌아보는 계획을 했다. 미술사와 호남 전통 남화에 대한 책도 몇 권 구했다. 그것이 마을에 들어설 거대한 건물이 아닌, 우리의 문화예술과 역사에 대한 예의라는 생각이 들었다. 이것이 미술관을 사랑하는 또 하나의 방법 아닐까.

나머지 97가지의 방법을 우리가 함께 또는 나름의 방법으로 찾아보는 것, 우리가 환호하고 기쁨에 마지않았던 첫사랑을 대하는 사랑의 기술이라 생각한다.

당신의 지난 사랑을 생각해보라. 어느 날 문득 나의 눈동자로 걸어들어 와 마음속에서 진심으로 사랑의 감정이 생기고 그 사랑과 가까워 질 수천가지의 방법을 생각하고 그것을 이루기 위해 그 열배의 노력을 기울이다 보면 사랑은 어느새 나와 하나가 되었을 것이다.

그 사랑이 우리들 자신이면 좋겠다.

저작권자 © 광양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