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강ㆍ우산지구 토지소유자들이 조합을 결성하고 민간개발방식으로 도시개발을 추진하겠다는 ‘갈등을 잉태한’ 움직임이 한창이다.
이 지구는 경제자유구역청의 계획에 따라 2015년부터 개발을 시작해 주택과 상업, 교육단지 등으로 조성돼 경제자유구역의 배후단지 기능을 수행할 방침이 세워져 있는 곳이다.

광양시도 이 지구를 경제청의 개발계획에 따라 개발한다는 기본 입장에서 변하지 않고 있고 지역정치권 역시 부정적인 의견이 대부분이어서 이들 토지소유자들의 사업추진을 처음부터 벽에 부딪히는 모양새기 때문이다.

광양시의 해제요청이 선행돼야 하고 경제청이 다시 지식경제부에 해제를 요청해 승인을 받아야 하는 지구 지정해제 절차상의 문제가 아니더라도 황길지구와 칠성3지구 등 민간개발 방식의 도시개발이 많은 문제를 야기하고 사업추진에 난항을 겪어왔던 탓에 공영이나 준공영 방식으로 진행돼야 한다는 게 이들 기관의 생각이다.

그러나 이들 토지소유자들이 민간개발을 하겠다고 나선 이유가 무엇인가를 먼저 살펴보는 것이 순서일 듯하다. 주민들의 행동 배경에도 분명 이유가 있을 테니 말이다.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그것은 한 가지 핵심으로 요약된다. 경제청의 개발계획이 당초 계획대로 진행되지 않거나 난항을 겪으면서 주민들의 신뢰를 잃은 것이 가장 근본적인 원인이라는 점이다. 경제청만 믿고 있다간 도시개발이 요원해지리라는 주민들의 불안감과 불신을 스스로가 심어준 바가 크다는 것이다.

황금산업단지와 세풍산업단지 개발지구내 주민들과 토지소유자들도 경제청의 청사진을 믿고 있다가 현재 큰 고통을 받고 있다. 사업이 계획대로 진행되지 않으면서 재산권 행사의 제약과 생활상의 피해를 감내하고 있는 게 현실이다. 그마저도 아직 구체적인 사업추진동력을 얻지 못한 채 우왕좌왕하는 광양경제청의 모습을 보면서 그들이 제시했던 청사진이 결국 삶을 옥죄는 족쇄가 되고 있음을 주민들은 뼈아프게 목도하고 있다.

용강ㆍ우산지구 토지소유자들의 한결 같은 우려도 역시 바로 그것이다. 자유로운 재산권 행사도 손발이 묶인 채 막대한 손해를 보고 있는 현실이 지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손 놓고 경제청만 바라보고 있다가 ‘도루묵’이 될 것이라는 위기의식이 팽배해 있는 것이다. 그럴 바에는 아예 직접 토지소유자들이 개발하는 게 낫다는 인식이 이들 사이에 도저하다.

이것을 어찌 토지소유자와 주민들의 ‘몽니’로만 볼 것인가.
결국 이 문제는 그동안 광양경제청이 지역주민들과 쌓아온 신뢰의 문제로 귀착된다. 사업을 추진하는 과정에 여러 가지 난관에 봉착하고 어려움을 겪는 것을 모른바 는 아니다. 그러나 지역주민들이 경제청에 갖는 불신은 그들 스스로가 한 약속을 매번 뒤집는데 있다는 점을 분명히 짚고 넘어가야 한다.

급기야 “투자유치 전문집단이 아니라 경제청이 전남도 소속 공무원들이 승진하면 거쳐 가기 위해 만들어진 조직”이라는 비아냥이 주민들 사이에 회자된 지 오래됐다는 사실도 이쯤에선 털어놔야겠다. 이 같은 주민들의 ‘제 갈길 찾기’ 역시 경제청 스스로가 만든 현실이라는 점도 함께 말이다.

저작권자 © 광양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