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양시의 일자리창출 사업이 인정을 받아 고용노동부가 주관한 일자리대상에서 최우수상을 받았다. 그리고 이날 배포한 보도자료에 따르면 민선6기 3년 동안 일자리 창출 실적이 1만2,041개에 이른다고 한다. 1만개공약에서 120% 넘는 이행률을 보인 셈이다. 그런데 시민들 일상에서 일자리가 크게 늘었다고 체감되질 않는다.

광양시 관계자 역시 이런 수치에 시민과 행정이 온도차가 있다고 설명한다.

실제로 지난 26일 광양시가 제공한 자료에 따르면 2015년 하반기 실업률이 2.5%인데 반해 지난해 하반기 실업률은 3.5%로 1%나 늘었다.

1만개가 넘는 일자리가 창출됐는데 실업률이 1%나 늘었다면 어마어마한 인구유입이 있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의문이 들기도 한다.

하지만 그런 인구의 유입 없이도 이런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이 실업 통계다. 다음은 실업률을 계산하는 공식이다.

실업률(%)=(실업자÷경제활동인구)×100

여기서 핵심은 경제활동인구다. 통상적으로 경제활동인구는 만 15세 이상의 취업자와 실업자를 말한다. 그리고 취업자는 수입을 목적으로 조사대상 주간 중 1시간 이상을 일한 사람을 말한다. 더 나아가 수입이 없더라도 농업에 종사하면 취업을 한 것으로 보고, 개인사업자가 일시적으로 일을 하지 않은 경우도 취업자로 본다.

실업자는 지난 4주 동안 일자리를 찾아 적극적으로 구직활동을 한 사람을 말한다. 주목해야 할 점이 적극적으로 구직활동을 한 사람이다. 반대로 말하면 구직을 포기하거나 소극인 사람은 실업자가 아닌 비경제활동인구가 돼 통계에 들어가지 않는다.

통계를 전공하거나 깊이가 없어 정확한 예시인지 모르겠지만 풀어보면, 공시생은 비경제활동인구지만 일주일에 한 시간 이상 아르바이트하는 순간 취업자가 되는 셈이다. 일반인이 생각하는 취업하고 분명히 간극이 있다. 그렇다보니 위와 같은 현상도 발생하는 것이다.

일자리 창출 역시 우리가 생각하는 개념하고 다르다고 설명한다.

공공근로 같은 경우 시간을 쪼개면 새로운 일자리가 생기고 그나마도 상하반기 나눠서 집계도 가능하다. 또한 통상적으로 퇴직자가 나가고 그 빈자리를 채워도 새로운 일자리가 창출된 것으로 본다.

이렇듯 없어진 일자리는 통계에 들어가지 않으면서 들어간 일자리만 통계를 잡다보니 우리가 느끼는 현실과는 차이가 있다. 극단적이지만 2만개의 일자리가 없어지고, 1만개의 일자리가 채워지면 1만개의 일자리 창출이라고 할 수 있다. 물론 광양시가 제시한 다른 통계를 보면 취업자 수가 지난 2013년에 비해 2016년 7,800명이나 늘어난 것으로 집계돼 일자리가 늘었다는 것은 사실일 것이다.

하지만 시민들 입장에서는 그 때와 별반 다르다고 느끼질 못하니 1만이라는 숫자에만 집착한 것 아니냐는 의심의 눈초리를 보내는 사람도 있다.

광양시 역시 이런 점을 의식해서인지 ‘광양형 안정적 일자리’라는 새로운 개념을 도입했다. 3개월 이상 상시로 근무하는 상용근로자로 투자유치기업체 생성일자리에다 기존 기업 내 신규‧대체 일자리만을 집계하는 방식이다. 이런 통계방식이라면 시민 역시 신규 일자리를 피부로 느낄 수 있을 것 같다.

덧대자면 숫자는 강력한 힘을 지닌다. 그래서 일자리 1만개라는 상징적인 숫자는 활용하기 좋은 무엇이 되기도 할 것이다. 하지만 시민의 공감을 얻기 위해서는 올바른 정책 방향이 더더욱 중요하다. 이 점에서 일자리와 관련해서는 ‘광양형 안정적 일자리’ 개념이 안착되고 더 좋은 통계를 낳을 수 있기를 희망한다.

저작권자 © 광양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