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광양보건대 문제가 지역의 큰 이슈로 회자되고 있다.

광양보건대 문제는 이홍하 설립자가 설립자겸 실질적 운영자의 지위를 이용해 광양보건대학교의 교비를 횡령한데서 시작됐다.

이후 광양보건대는 교육부로부터 경영부실대학으로 지정됐을 뿐만 아니라 대학구조개혁평가에서도 E등급을 맞아 교비 환수 전까지는 정부 재정지원사업 참여 배제와 국가장학금 지원중단 등 불이익을 감내 해야 하는 상황이다.

이 문제는 일단 재정 기여자를 확보하면 쉽게 해결될 듯 보이지만, 재정 기여자가 나타난다 해도 설립자의 사전 동의가 필요해 사실상 문제 해결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사태가 이러함에도 지역사회가 보건대 정상화방안 마련에 나서는 것은 설립자의 비리로 애꿎은 피해를 입고 있는 학생들을 돕자는 취지다.

광양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는 지난 13일 대표자 회의에서 광양보건대 관련 내용을 공유하고, 더 이상 보건대 학생들의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연대회의가 나서 다양한 활동을 펼쳐나가기로 의견을 모았다.

광양지역대학교 정상화를 위한 범시민대책협의회도 지난 14일 회의를 열고 보건대 정상화를 위한 '시민서명운동' 추진, 지역사회 단체와 학생들의 대화의 장 마련 등을 추진키로 했다.

이처럼 광양보건대 문제 해결에 나름대로 도움을 주기위한 지역사회의 움직임이 본격화 되고 있다.

하지만 이런 중에도 우려되는 바가 있어 이를 지적하고 해결방안을 제안코자 한다.

어렵게 광양지역사회가 보건대 학생들을 위해 나서고 있지만 정작 보건대는 총장 이하 교수, 학생들이 하나가 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 불편한 진실이다.

총장의 보다 적극적인 구제노력과 학생 없는 교수들의 구조조정이 필요하다는 불만은 이미 공공연한 비밀이 돼버렸다. 다만 도움을 청해야할 시민들의 거부반응을 우려해 쉬쉬하고 있는 상황이라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보건대 학생들을 지원하고 도와야 하는 것은 광양에 새로운 대학 유치가 쉽지 않은 상황에서, 있는 대학이라도 지켜야하기에 광양지역사회가 반드시 해야 할 일이다.

그러기 위해 광양보건대학 구성원들 간 불만이나 반목이 더 이상 지역사회에 확대되지 않도록 스스로 구조조정과 분위기 쇄신에 나서줄 것을 주문한다.

먼저 구성원들 스스로가 하나로 결집된 의지를 보여야 지역사회에서도 돕고자 하는 마음이 생길 것이기 때문이다

그리도 한 가지 더 사족을 달자면 ‘광양지역대학교 정상화를 위한 범시민대책협의회’가 시민사회단체의 참여확대를 이끌기 위한 노력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지난 14일 협의회는 보건대 정상화방안 마련 회의를 비공개로 진행해 회의를 지켜본 후 연대 방안을 모색코자 했던 시민단체관계자와 기자들로부터 괜한 오해를 샀다.

학교 당사자들이 없는 자리에서 격의 없는 논의를 하기 위해서였다고는 하지만, 이후 논의 결과가 공유되지도 않는 상황이라면 협의회가 추진키로 한 보건대 정상화를 위한 노력은 그저 회의만으로 끝날 수도 있음을 되돌아봐야한다.

시장과 의장, 교육장, 상공회의소장, 문화원장 등 범시민대책협의회 구성원들의 면면이 지역을 대표하는 인사들임에는 분명하지만 의사 결정의 무게만큼 실질적 시민사회의 행동을 이끌기엔 부족함이 있다.

지키지 못할 약속은 애초에 하지를 말자. 당사자에겐 더 큰 실망을 안겨줄 수도 있다.

이제 ‘광양지역대학교 정상화를 위한 범시민대책협의회’는 회의에서 결정된 것을 실행에 옮겨야 한다. 협의회가 보건대 정상화를 위해 추진코자하는 내용을 시민사회에 설명하고 적극적인 참여를 견인함으로써 실천을 담보할 수 있길 기대한다.

저작권자 © 광양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