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말례 광양시의원

▲ 박말례 광양시의원

지난 8월 7일 광양시청회의실에서 광양보건대학교와 광양보건대 정상화 시민추진위원회가 공동주관하는 광양보건대학교의 공영형사립대 전환을 위한 시민 포럼이 있었다.

5명의 패널들이 나왔는데 한 패널의 이야기는 공영형사립대 전환의 절차와 방법에 대해 발표를 하였고, 학교당국의 관계자는 보건대의 정상화를 위한 지역민의 도움을 요청하는 호소에 가까운 발표가 있었으며, 또 다른 언론인은 공영형사립대 전환이전에 정상화가 먼저 이루어져야 한다는 발표가 있었다.

주지하다시피 광양보건대학은 2015년 1주기 대학구조개혁평가에서 E등급을 받았고, 2016년과 2017년 정부재정지원제한 재평가에서도 연속하여 C등급(제한유지, 탈락)을 받았다. 그 결과 법적 근거가 없는 장학금 중단, 국가재정 지원 중단, 정원감축, 학자금 대출 제한 등으로 학생수는 점점 감소하고 있다.

그리고 지난 6월 20일 발표된 대학기본역량진단 1단계 평가에서 대상 대학의 약 60%가 해당되는 자율개선대학에 포함되지 못함으로써 7월 1일부터 실시되는 2단계 평가를 받게 되었고, 8월 20일경 발표되는 2단계 평가에서 최하위등급을 받으면 한계대학으로서 폐교수순을 밟게 되고 광양보건대학교의 폐교가 결정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런데 포럼의 주제가 공영형사립대 전환을 위한 것이라니 포럼에 참석한 나는 꽤 실망을 했다.
지금 공영형사립대 전환을 운운할 때가 아니라는 생각에서다.
사람으로 치자면 광양보건대학교는 응급환자에 비유할 수 있다.

응급실에 들어온 환자에게 가장 시급한 문제는 숨을 제대로 쉬게 하고 의식을 회복케하여 적절한 처방과 치료를 하게 하는 것이 급선무이기 때문이다.

굳이 포럼이나 토론회를 할 것 같으면 광양보건대학교 측에서 현재의 학교 문제 상황에 대하여 솔직하게 공개를 하고 문제에 따라 해결 방법과 해결사를 찾는 포럼이었어야 했다. 해결사라 하면 학교당국은 물론 시장이 될 수도 있고 도지사도 될 수 있다. 문제에 따라서는 시민 사회단체가 될 수도 있다.

그런데 보건대학교가 위기이고 정상화 해야 한다는 말은 무성하지만 시민 모두가 공감하는 사항은 아니라는 것이다. 광양보건대학교의 폐교가 어느 한 지역만의 문제 일 수는 없다. 가뜩이나 어려운 경제여건 속에 교직원 90여명, 학생수 1500여명, 기타 구성원수 40여명으로 대학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실물경제 직, 간접소득효과는 연간 총350여억원에 이를 것이라는 학교측의 주장이다.

가히 인구 15만의 지방도시에서는 웬만한 기업체 하나의 유치 효과보다 높다고 말 할 수 있다.

이러한 여건들을 종합해 볼 때 광양보건대학교의 정상화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고 본다. 우리는 서남대학교 남원캠퍼스 폐교 이후 남원시 지역경제의 위기상황을 지켜보고 있지 않는가 ?

학교 설립자 이홍하를 비판하고 미워하기보다 광양시의 위상제고와 지역 실물경제 회복을 위해 시민 모두 똘똘 뭉쳐 보건대학교 살리는데 앞장서야 하겠다.

한 가지 다행스러운 것은 보건대학교 정상화를 위한 책임 있는 자들의 행보가 눈에 띈다.

정현복 광양시장을 비롯한 이용재 도의장, 김성희 시의장 일행이 보건대 정성화 지원 건의를 위해 교육부를 방문한다고 한다.

조금 더 일찍 서둘렀으면 하는 바람이었지만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으니 부디 좋은 성과를 낼수 있기를 두 손 모아 빌어본다.

저작권자 © 광양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