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양경제청 개청 9주년 심포지엄

광양만권경제자유구역청 개청 9주년 기념 ‘광양만권 물류 심포지엄’이 지난 21일 경제청 대회의실에서 열렸다.

광양경제청이, 순천대학교가 주관하고 전라남도, 여수시, 광양시, 여수광양항만공사, 여수ㆍ순천ㆍ광양상공회의소가 후원한 이번 행사는 광양만권 물류활성화에 대한 전략발굴과 물동량 창출기업 유치방안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를 위해 마련됐다.

이날 심포지엄에는 ‘광양만권 경제자유구역 활성화 과제’, ‘광양항 활성화를 위한 경쟁력 제고 방안’, ‘국토인프라 여건전망과 광양만권 부가가치 물류창출 전략’ 등의 주제발표가 있었으며, 각 주제별로 전문가들이 나서 열띤 토론을 벌이기도 했다. <편집자 주>

광양항 활성화 거점도시화 필요
광양항의 활성화를 위해 항만 배후도시를 거점화 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제언자로 나선 유정석 인천대 석좌교수(전 해양수산부 차관)는 “항만도시의 발전을 위해서는 항만, 경제자유구역, 거점도시가 유기적 관계를 가져야 한다”며 이 같이 말했다.

그는 특히 광양항이 가장 부족한 부분에 대해 거점도시로서의 역할을 꼽았다. 이에 따라 반드시 도시통합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현재 상황을 보면 광양만권 각 지자체가 각기 다른 역할을 하고 있는데, 항만 배후도시로서의 역할을 하려면 남중권을 아우르는 도시통합이 필요하다며 이런 광역적인 통합이 있어야지만 국가 경제성장을 견인하는 복합물류중심 도시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광양항의 물류활성화의 가장 현실적인 방안으로는 박근혜 정부 정책과의 연계를 꼽았다.
유 교수는 박근혜 정부가 출범하면서 140여개의 정책과제를 발표했으며 이 가운데 40여개의 정책은 광양항 및 광양만권 경제자유구역과 연계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하고, 광양항의 발전을 위해서는 이런 정책들을 분석하고 정책과 연계할 수 있는 구체적인 계획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창조적 인적자원, 활성화 ‘핵심’
먼저 ‘광양만권 경제자유구역 활성화 과제’라는 주제발표에 나선 한국산업연구원 홍진기 연구위원은 현행 국내 경제자유구역 정책의 문제점을 인센티브의 제도적 미비에 따른 외국인 투자유치실적 저조로 꼽았다.

실제로 홍 연구위원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1년 9월 기준 경제자유구역에 입주한 외국인투자기업은 133개인데 이마저도 합작기업이 107개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다. 경제자유구역별로는 인천이 39개, 부산진해가 49개, 광양이 35개로 많고 지난 2008년 이후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된 곳의 입주기업 수는 모두 합쳐 10개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경제자유구역 내에 입주한 국내기업의 수는 1422개인 것으로 나타나 10배나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이에 따라 추진과제로는 △선택과 집중을 통한 성공모델 구축과 확산 △구역별로 차별화된 발전전략 수립 △매력 있는 비즈니스 생태계 조성 △추진체계 선진화로 정책운영의 경쟁력 제고 등을 꼽았다.

특히 지역여건을 반영한 경제유구역을 글로벌 거점과 지역거점으로 유형화 하고, 글로벌 거점에 대해서는 국제적 연계협력의 강화에 지역 거점에 대해서는 비즈니스 생태계 구축에 초점을 맞춰 차별화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해결방안으로는 새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창조경제’에 발맞춰 창조적인 사람들이 다양하게 혼합된 지역에서만 혁신이 일어나고 첨단산업이 발전하고 일자리가 더 늘어나게 된다는 입장이다.

그리고 경제자유구역의 활성화를 위한 광양경제청의 역할로는 비공식 네트워킹 활동의 강화, 연계협력을 통한 시너지 발현 촉진, 네트워크 브로거 양성, 현장 중심의 업무추진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항만기능 재정립으로 효율성 제고
세계 경제 핵심축이 아시아로 이동하고 있고, FTA 체결에 따른 경제블록화가 지속되는 세계 물류환경변화에 따른 광양항의 경쟁력 제고 방안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도 있었다.

김형근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항만연구본부장은 이날 주제발표에서 광양항 기존 컨테이너부두의 문제점을 초대형선 입항에 필요한 기본적인 인프라는 물론, 높은 생산성 지원이 어렵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한 근거로는 부산신항의 경우 전면수심이 최소 16m, 24열 크레인 설치 및 반자동화를 통해 생산성을 향상하고 있지만 광양항은 이런 시설이 전무하다고 설명했다.

또한 컨부두의 경우 물동량 부족으로 인한 여유선석 발생하고 있지만 일반부두는 시설이 부족한 현상이 발생하고 있는 점도 개선해야 할 점으로 꼽았다.

무엇보다 항만배후단지 역시, 제도적 문제점은 물론 관리ㆍ운영에도 단순보관업을 주로하는 기업이 입주해 있어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광양항 활성화를 위해선 부두기능의 재정립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우선 1단계는 예정대로 일반부두 전환, 2단계는 피더 중심, 3단계 3차는 고생산성의 첨단터미널로 활용하되 3단계2차의 경우 다목적 부두로 우선 사용하다 첨단터미널로 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나아가 항만배후단지도 FTA효과를 극대화학 위해서는 수입대체 활용, 세트물품 활용, 중간재 규정 활용 등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는 설명이다.

저작권자 © 광양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