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사업으로 시작한 자전거도로… 지자체 ‘앳가심’

시민의 건강증진과 친환경 도시 조성을 위해 만들어진 자전거 도로가 허술한 관리로 인해 곳곳의 노면이 파손되고, 각종 위험물들이 그대로 방치되고 있어 시민들의 안전을 수시로 위협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특히 지난달에는 ‘초남’ 방면으로 자전거를 타고 내려가던 한 시민이 도로에 솟아난 정체모를 ‘흙더미’를 지나다 넘어져 쇄골 뼈가 부러지는 사고를 당해 그 위험성이 강조되고 있다.

한편, 이명박 정부 4대강 사업 일환으로 국비 지원 하에 활발히 조성된 자전거 도로가 정권 교체와 함께 관리 주체를 잃고 지자체로 떠넘겨져 막대한 관리 비용을 감당하기 버겁다는 입장도 나오고 있다.

▲ 쇄골 뼈가 부러지는 사고를 당한 지점

깨지고 부서지고 꺼지고… 위험한 자전거 도로

피해자가 발생한 초남 자전거 도로 현장은 장기간 방치로 인해 상태가 매우 열악했다.

차도와 구별하기 위해 붉은색으로 도막 포장을 했지만, 표면이 갈라지고 일어나 흡사 가뭄이 든 것처럼 도로 상태가 엉망이었다.

심한 곳은 도로표면이 덩어리째로 떨어져나가 근처에 나뒹굴었고, 움푹 파인 그 자리는 자전거 주행을 방해하는 장애물로 전락했다.

또한 자전거 도로 갓길에는 갖은 쓰레기뿐만 아니라 로드 킬을 당한 동물 사체까지 널브러져 있어 눈살을 찌푸리게 했다.

▲ 쩍쩍 갈라진 도로 표면

사고가 발생한 해당 지점은 알 수 없는 흙더미가 단단히 솟아있었다.

그 위에는 잡초들이 무성하게 자라 있어 라이더들이 육안으로 인식하기조차 어려웠다. 시에서도 해당 장애물에 대해 정확한 진위를 파악하지 못했다.

시 관계자는 “해당 구간의 문제에 대해서는 모르고 있던 상황이었고, 주민제보를 통해 알게 된 사실”이라며 “현장을 둘러본 결과 정확한 진위는 모르지만 아무래도 원형의 형태인 걸 보아 가로수가 있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자전거 도로를 만들면서 가로수를 폐기하고 그대로 방치한 것 같다”고 말했다.

고르지 못한 도로 표면은 자전거 타이어 펑크 등을 유발할 수 있어 장거리를 가야하는 라이더 입장에서는 매끈한 길을 탈 수 밖에 없다.

결국 열악한 자전거 도로 환경이 라이더들을 위험한 차도로 내모는 꼴이 되는 것.

특히 공단이 들어서 있는 초남 방면은 차량 통행량이 적고, 인적이 드물어 화물차량이 수시로 과속을 하는 구간이라 자칫하면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정부, 만들기는 했지만 유지·보수는 글쎄…
재원부족 시달리는 지자체 ‘소리 없는 비명’만

자전거 수요가 나날이 증가함에 따라 활발한 자전거 도로 정비를 요구하는 목소리도 높아져가고 있지만, 시에서는 관리에 ‘한계’가 있다는 입장이다.

▲ 떨어져 나가버린 자전거 도로 표면

이명박 정권시절(2012년) 4대강 사업의 주력사업이 자전거 도로였기 때문에 당시엔 활발한 국비 지원 하에 148km에 이르는 길을 조성할 수 있었다.

그러나 정권이 바뀌면서 국비 보조금이 끊겨 교부세로 관리를 해야 하는 상황이 됐고, 자연스레 우선순위에 밀려 자전거 도로 예산은 축소됐다.

올해 광양시의 자전거 도로 정비 예산은 총 4500만원(도비 4000, 시비 500)으로 현재는 800만원이 남은 상태다.

시 관계자는 “148km에 이르는 전 구간을 확인하고 관리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려운 상황”이라며 “파손 관련 민원이 들어왔을 때만 현장 점검을 통해 보수를 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밝혔다.

또 “광양시는 2012년 2월, 자전거 교통사고 발생에 대한 시민들의 경제적 부담을 덜기 위해 15만 시민을 대상으로 자전거 보험에 가입했다”며 “최대한 시민들이 안전하게 자전거를 탈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해나가겠다”고 말했다.

자전거를 애용하는 한 시민은 “자전거 도로를 타는 이유는 경치를 즐기며 쾌적한 주행을 하기 위해서인데, 잊을 만하면 울퉁불퉁한 구간이 나타나 속도도 제대로 못 내고 있는 형편”이라며 “자전거 도로 자체는 너무 좋은 시설이지만, 도로환경이 너무 형편없어 없느니만 못한 것이 되고 있다. 사후 유지 관리에 더 힘을 써야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광양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