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멸위기지수 점진적 증가...인구유입대책 필요

광양시가 전남 22개 시군 가운데 소멸위험지수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지난 2013년 이후 점진적으로 하락세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점진적 하락세를 나타낸다는 건 소멸위기지역으로 가고 있다는 뜻이어서 새로운 인구유입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의 지방소멸 2018보고서에 따르면 2018년 광양시 소멸위기지수는 1.044로 나타났다. 광양시에 이어 순천시가 0.851로 뒤를 이었고 목포시가 0.819, 여수시가 0.643, 나주시가 0.538, 무안군이 0.526 순이었다.

그러나 광양시의 경우도 지난 2013년 1.290으로 최고점을 찍은 이후 2014년 1.232, 2015년 1.180, 2016년 1.128, 2017년 1.075으로 해마다 하락하고 있는 양상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올해는 이보다 더 하락해 1.044를 나타냈다.

한편 전남도 22개 시군 가운데 인구감소로 소멸될 수 있는 지자체가 16곳에 이른 것으로 나타나 전국 최악의 위기지역으로 분류됐다.

고용노동부가 발간한 고용동향브리프 7월호에 실린 한국고용정보원 이상호 연구위원의 <한국의 지방소멸 2918보고서>에 따르면 전남도는 22개 시군 가운데 광양시를 비롯해 목포시, 순천시, 여수시, 나주시 그리고 군 단위에서 유일하게 무안군을 제외한 구례군 등 16개 군 단위 지자체 모두가 소멸위험지역으로 분류됐다.

이번 보고서는 국가통계포털의 주민등록인구통계를 활용해 지난 2013년부터 올해 전국 228개 시군구 및 3463개 읍면동의 소멸위험지수를 계산했다. 소멸위험지수는 한 지역의 20~39세 여성인구 수를 해당 지역의 65세 이상 고령인구 수로 나눈 값이다. 소멸위험지수가 0.5 미만이면 소멸위험지역이라고 정의했다. 가임여성인구 수가 고령자 수의 절반이 안 되는 지역은 저출산 고령화로 인한 인구감소 탓에 공동체가 붕괴돼 사라질 수 있다는 뜻이다.

이에 따르면 전남도는 2013년 소멸위험지수가 0.55로 나타났으나 이후 점진적으로 줄어들어 2016년 0.50포인트를 기록한데 이어 2018년 현재 0.47포인트를 기록해 광역적 소멸위기지역으로 들어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 전국 228개 시군구 중 소멸위험지역은 2013년 75개(32.9%)에서 ‘18년 89개(39%)로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전국 3463개 읍면동 가운데 소멸 위험에 처한 지역수는 2013년 1229개(35.5%)에서 올해1503개(43.4%)로 5년 사이에 274개(7.9%p)가 늘었다.

연령별 순유출을 보면, 20대가 17만 명으로 가장 많았고 30대(10만9천명)와 10대 이하(6만3천명)가 뒤를 이어 30대 이하의 순유출 인원은 34만2천명에 이른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20대의 경우 전체 이동 중 수도권으로의 유출이 37.4%를 차지했고, 50대는 소멸위험지역으로의 순유입 규모가 6만6천명이었다. 귀농귀촌 등 고령자의 인구 유입은 소멸위험지역의 인구감소를 억제하는데 기여하고 있지만 인구유출의 흐름을 반전시키지는 못한 것으로 분석된다.

저작권자 © 광양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