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재생 추진에 대한 다른 방향과 같은 고민, 장기적 관점 인력 양성 시급
오래된 마을, 오래된 벽화

벽화사업와 커뮤니티가 활발한 곳이 있다는 정보를 접하고 도시재생에서 핵심인 주민과의 커뮤니티를 확인하고자 대전을 찾았다.

그것은 이번 기획취재에서 대전을 선정하게 된 가장 큰 이유가 되기도 했다.

대전역을 지나 얼마를 걷다 보니 작은 개천이 나왔다. 주택가 담벼락에는 오래된 듯 빛바랜 벽화가 여전히 손님을 맞고 있었다.

서둘러 발걸음을 재촉하니 찾던 그곳 소제동이었다. 신작로에 놓인 평상에는 나이 지긋한 어르신이 한가롭게 낮잠을 즐긴다. 생각과는 전혀 다른, 그렇지만 정겨운 곳.

인터넷을 통해 접했을 때에는 여는 유명 관광지를 생각했건만 그런 기대는 소제동 입구에서 깨끗이 날아갔다. 오래된 벽화거리와 여기 저기 비어있는 주택은 도시재생사업의 성공사례로 보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어 보였다.

그렇다고 실망스런 것도 아니다. 최근 광양읍 원도심의 그것과 너무 유사한 골목에 벽화가 그려진 것 같은 느낌은 한가로움을 더했다.

한 걸음, 또 한 걸음을 옮기면서 이곳을 재생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서 되새김해 봤지만 ‘굳이’라는 답변이 돌아온다. 다만 언제 그려졌는지 모를 벽화는 마을과 이질감이 느껴져 아쉬움을 자아냈다.

유행 따르는 재생사업

한 때 벽화거리로 이름을 알렸지만 다시 한 번 재생사업에 임해야 하는 소제동. 아마도 다른 도전에 직면해 있는 소제동을 보며 광양읍 역시 장기적 관점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점이 다시 상기 됐다.

“도시재생도 유행이 따릅니다.”

최태규 대전도시재생지원센터 책임연구원의 말이다.

한 때 도시재생에서 상당 부분을 차지했던 마을벽화가 이제는 한옥으로 옮겨가고 있으며, 그것도 한옥이나 옛 주택의 살린 형태의 재생을 통해 자원으로 활용하고 있다는 설명을 곁들였다.

그래서 지금의 소제동은 그저 원도심에서도 오래된 마을에 불과할 뿐 정비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최근 유행하는 도시재생을 소제동을 리모델링한다고 활성화가 될까라는 의문에 다다른다. 그 역시 장담할 수는 없는 것.

그렇다고 공동화되는 원도심을 한 번 재생사업을 마쳤다고 방치하는 것 역시 정책적 사고는 아닐 것이다.

그래서인지 대전도시재생지원센터에서도 소제동을 포함한 원도심에 대한 도시재생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었다.

대전의 도시재생 방향은?

대전시 전반의 도시재생에 관한 내용도 들어봤다. 우선 대전의 도시재생은 경제기반형이다.

참고로 광양시의 도시재생방향인 근린생활형과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 경제기반형은 도시경제를 살리는 신성장 동력을 조성하고, 시급한 지역거점 도시재생은 선도사업을 통해 추진한다. 이에 반해 근린재생형은 마을단위의 사회 안전망을 조성하고, 주민과 함께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에 따라 △역사와 문화가 생동하는 도시재생 △공동체가 살아있는 민관협치형 △원도심활성화 및 지역균형발전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도시재생 △도시에 품격을 더하는 도시재생 등 대전의 도시재생 5대 방향을 정했다고 한다.

2025년까지 진행되는 도시재생 역시 산업단지 재생권역, 원도심 재생권역, 계백로 재생권역, 유성시장 특별권역으로 나눠 추진 중에 있다.

특히 근대문화유산이 집중돼 있는 옛 충남도청과 그 인근에는 문화창조발전소라고 명명해 예술과 낭만의 거리, 작은 과학문화 도서관, 만화웹툰창작센터, 아티언스 파크 등을 설치한다는 계획이다.

대전역세권에는 최근까지도 명맥을 잇고 있는 한의약‧인쇄거리를 조성하고, 철도관사촌 복원, 선상공원, 국립철도박물관 유치, 지식산업센터 건립 등도 핵심 프로젝트로 선정했다.

이런 목표 아래 도시재생지원센터는 민‧관 중간지원조직으로서 대전형 도시재생 수단을 발굴‧지원‧확산하는 역할을 한다. 주요사업으로는 △시민역량강화 △사업기반 구축 △재생정책지원 △도시재생 공유 등이 있다.

다른 사업, 같은 고민

이 같이 대전시의 도시재생방향은 광양읍의 그것과 일치하는 부분도 있지만 상당 부분 다르게 추진되고 있다.

하지만 이곳 역시 도시재생을 추진하기 위한 인력을 구하는 일은 쉽지 않다고 입을 모은다.

▲ 최태규 대전도시재생지원센터 책임연구원

최태규 연구원은 “도시재생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전문성이 요구되는데 현장 인력을 충원하는 게 여의치 않다”며 “다만 주민들에 대한 공동체교육은 대전사회적자본지원센터에서 일정 부분 담당하고 있어 진행이 수월한 편”이라고 전했다. 광양시와 비교해서는 그나마 교육 부문을 나눌 수 있어 부러울 수도 있는 부분이다.

그러나 대전시 역시 광양과 마찬가지로 특별위원회의 의결을 기다리는 입장이어서 주민공동체에 대한 성과나 결과물에 대해서는 특별한 언급이 없었다.

그렇지만 최 연구원은 “전문성이 요구되는 만큼의 정당한 보수체계가 이뤄지지 않고 있는 것 같다”며 “실력 있는 전문가라고 할지라도 안정성 측면에서도 보장되질 않아 도시재생사업에 참여하는 것을 꺼리는 것 같다”고 밝혔다.

광양시와는 조금 다른 상황이지만 대전 역시 인력과 같은 문제에서 자유롭지 못하다고 어려움을 호소했다.

따라서 도시재생이 성공하려면 전문가 양성이나 직업적 안정성 보장도 있어야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이 일치된 전문가의 조언이다.

저작권자 © 광양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