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물은 왜 짠가 - 함민복

눈물은 왜 짠가

함민복

지난여름이었습니다. 가세가 기울어 갈 곳이 없어진 어머니를 고향 이모님 댁에 모셔다 드릴 때의 일입니다. 어머니는 차 시간도 있고 하니까 요기를 하고 가자시며 고깃국을 먹자고 하셨습니다.

어머니는 한평생 중이염을 앓아 고기만 드시면 귀에서 고름이 나오곤 했습니다. 그런 어머니가 나를 위해 고깃국을 먹으러 가자고 하시는 마음을 읽자 어머니 이마의 주름살이 더 깊게 보였습니다. 설렁탕집에 들어가 물수건으로 이마에 흐르는 땀을 닦았습니다.

"더울 때일수록 고기를 먹어야 더위를 안 먹는다. 고기를 먹어야 하는데......고깃국물이라도 되게 먹어 둬라."

설렁탕에 다대기를 풀어 한 댓 숟가락 국물을 떠먹었을 때였습니다. 어머니가 주인아저씨를 불렀습니다. 주인아저씨는 뭐 잘못된 게 있나 싶었든지 고개를 앞으로 빼고 의아해하며 다가왔습니다. 어머니는 설렁탕에 소금을 너무 많이 풀어 짜서 그런다며 국물을 더 달라고 했습니다. 주인아저씨는 흔쾌히 국물을 더 갖다주었습니다.

어머니는 주인아저씨가 안 보고 있다 싶어지자 내 투가리에 국물을 부어 주셨습니다. 나는 당황하여 주인아저씨를 흘금거리며 국물을 더 받았습니다. 주인아저씨는 넌지시 우리 모자의 행동을 보고 애써 시선을 외면해 주는 게 역력했습니다.

나는 국물을 그만 따르시라고 내 투가리로 어머니 투가리를 툭, 부딪쳤습니다. 순간 투가리가 부딪치며 내는 소리가 왜 그렇게 서럽게 들리던지 나는 울컥 치받치는 감정을 억제하려고 설렁탕에만 밥과 깍두기를 마구 씹어 댔습니다. 그러자 주인아저씨는 우리 모자가 미안한 마음 안 느끼게 조심스럽게 다가와 성냥갑만 한 깍두기 한 접시를 놓고 돌아서는 거였습니다.

일순, 나는 참고 있던 눈물을 찔끔 흘리고 말았습니다. 나는 얼른 이마에 흐른 땀을 훔쳐 내려 눈물을 땀인 양 만들어 놓고 나서, 아주 천천히 물수건으로 눈동자에서 난 땀을 씻어 냈습니다. 그러면서 속으로 중얼거렸습니다.

눈물은 왜 짠가?

※ 시인 함민복

  1. 년 충북 중원군 출생
  1. 년 <세계의 문학> 등단

시집 <자본주의의 약속> 외 다수

김수영문학상 외

문단에 처음 함민복이 얼굴을 알릴 즈음 좀처럼 확인이 불가한 시들이 1990년대 후반 그의 시밭에서 자라기 시작했습니다. 초기 그의 시밭에는 소통의 부재로 인한 소외의 현장이 이식돼 있었던 것인데 1993년 출간한 시집 <자본주의의 약속>를 통해 자본주의의 폭력성 앞에 놓인 개인의 역사가 매몰되는 공간을 아주 참혹하게 키워냈던 터라 그의 변화는 다소 좀 놀라운 측면이 없지 않습니다.

이를테면 농촌을 빠져나온 청춘들이 공단 불빛을 등지고 지친 야근에 시달리던 시절을 담아내던 모습에서 좀처럼 읽을 수 없었던 그에게서 바다의 출렁임과 갯벌의 짠내에다 사람과 사람의 삶이 빚어내는 향기가 진동하기 시작했기 때문입니다. 그건 시선이 바뀐 것이 아니라 삶을 이루는 주변의 모든 것이 바뀌면서 자연스럽게 그 주변에 체화되는 과정을 모두 겪어낸 자가 느끼는 변화입니다.

산골 촌놈 출신에다 경북 월성 원자력발전소에 근무하던 공돌이 함민복의 삶이 강화도 동막리 사람으로 변화되는 과정과 같은 시대와 서정을 공유한 것 때문일 겁니다. 강화도에서 함민복은 그냥 그 마을 사람입니다. 이웃이자 등을 기대 서로의 공동체를 함께 나누는 그런 곳이지요.

시 <눈물은 왜 짠가>는 그런 시인의 변화가 한 움큼 느껴지는 시입니다. 설렁탕과 눈물 사이에 존재하는 가장 근원적인 관계가 엿보이기 때문이지요. 무엇보다 분노를 내려놓으면 비로소 보이는 것들이 있기 마련이지요.

저작권자 © 광양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